Abstract This is analysis about the purpose of artwork, visualization, and exhibition and the research on media installation of mine which the exhibition environment itself is an artwork. Art installation is a communication tool calling the audience into the artist world and stimulate the imagination by connecting mental world to physical world. The exhibition is depended by projecting light only without any lighting in order to extend sense, connect imagination with real world, and immerse on one’s own. The exhibition space is divided by the entrance space filling with 3D printed objects and the emptied inner space. Like two space linked with comparison, the exhibition induces an experience of hovering over real and imagine world to the audience who is the subject of imagination through the border of various form. The substantial objects are harden like fossils but they are moving alive at the moment the projects are on. And digital images produced in computer come into being by 3D printing. On the border of Material and nonmaterial, analogue and digital, still image and moving image,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displayed by convergence of CG, 3D printing, projection mapping turns into time and space of memory inducing the immerse of audience on one’s own. I tried to provide an experiential space which the audience can open their sense staying in and experience the accumulated place which the memory of vital activity in ancient time and the trace of life.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for the emotional stimulation is a media artwork itself and the purpose of my work as a kind of device that makes the audience the subject of thinking and imaging.
Keywords vital activity, dejavu, immerse, 3D printing, media installation
작품의 제작의도와 시각적 표현 및 전시에 대한 분석으로, 전시공간이 총체적인 하나의 환경을 이루어 그 자체가 작품이 되는 연구자의 미디어설치작업에 대한 연구이다. 설치는 예술가의 세계로 관람자를 불러들이는 적극적인 소통도구이며 몸을 통한 감각적 세계를 정신세계와 연결하여 상상력을 자극한다. 감각의 확장, 현실세계와 꿈의 세계 연결, 자발적 몰입을 위해 전시장은 조명 없이 프로젝션에만 의존하였다. 전시장은 3D 프린팅의 입체조형물로 채워진 입구 공간과 텅 빈 안쪽공간으로 분리되는데, 서로 대비되며 연결된 두 공간처럼 전시는 다양한 형식의 경계를 통하여 상상하는 주체, 즉 관객에게 실제와 가상을 넘나드는 경험을 유도한다. 실체를 지닌 오브제는 화석처럼 굳어져 있으나 프로젝션이 비치는 순간 영상이미지로 살아 움직이며, 컴퓨터에서 만들어진 디지털 이미지는 3D프린팅을 통해 실체를 지니게 된다. 물질과 비물질, 아날로그와 디지털, 화상과 동영상의 경계에서, CG, 3D 프린팅, 프로젝션 매핑 등의 형식이 융합되어 연출되어진 설치환경은 관객에게 자발적 몰입을 유도하며 전시공간을 시간과 기억의 장소로 바꿔가게 된다. 전시장에 머물며 서서히 감각을 확장시킬 수 있는 환경, 태고의 생명활동에 대한 기억과 삶의 흔적들이 축적된 장소를 경험하게 되는 체험적 환경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감성적 자극을 위한 설치환경은 관객 스스로가 생각하고 상상하는 주체이기 위한 일련의 장치들로서 미디어작품 자체이자 제작의도가 된다.
|